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제대혈 보관비용, 장단점, 선택 비율 알아보기

by 깜냥냥 2025. 3. 5.

    [ 목차 ]

제대혈 보관비용, 장단점, 선택 비율 알아보기
제대혈 보관비용, 장단점, 선택 비율 알아보기

 

제대혈이란?

제대혈은 신생아가 태어날 때 탯줄과 태반에서 채취한 혈액으로, 조혈모세포, 중간엽 줄기세포, 면역세포 등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세포들은 다양한 질병 치료에 활용될 수 있어, 제대혈은 귀중한 의학적 자원으로 여겨집니다.

 

제대혈의 구성 성분

제대혈에는 크게 두 가지 주요 세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 조혈모세포: 백혈구, 적혈구, 혈소판 등 혈액 세포를 생성하는 역할을 하며, 백혈병과 같은 혈액 질환 치료에 사용
  • 중간엽 줄기세포: 뼈, 연골, 지방, 근육 등의 조직 재생과 손상 회복을 도움

 

 

제대혈 보관비용, 장단점, 선택 비율 알아보기
제대혈 보관비용, 장단점, 선택 비율 알아보기

 

제대혈의 장점

  • 치료적 가치: 조혈모세포는 혈액 질환 및 면역 질환 치료에 활용될 수 있으며, 중간엽 줄기세포는 조직 재생에 도움을 줍니다.
  • 면역 거부 반응이 적음: 성체 줄기세포보다 면역 거부 반응이 적어 이식 시 안전성이 높습니다.
  • 비교적 간단한 채취 과정: 출산 과정에서 무통증으로 채취할 수 있습니다.

 

제대혈의 단점

  • 제한된 양: 제대혈은 채취량이 적어 성인에게 이식할 경우 충분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 보관 비용 부담: 가족제대혈 보관 비용이 발생하며, 장기 보관 시 추가 비용이 필요합니다.
  • 활용 가능성이 낮음: 현재까지 연구가 진행 중이며, 일부 질병에서만 치료 효과가 입증되었습니다.

 

제대혈 보관비용, 장단점, 선택 비율 알아보기
제대혈 보관비용, 장단점, 선택 비율 알아보기

 

제대혈 선택 비율

제대혈 보관을 선택하는 부모들이 점점 늘어나고 있습니다. 2022년 말 기준 국내 가족제대혈 보관 건수는 약 43만 7,000건으로 전체의 91%를 차지했으며, 기증제대혈은 약 4만 2,000건(9%)이었습니다. 신생아 10명 중 1명이 가족제대혈을 보관하는 셈입니다.

 

제대혈의 활용률

최근 5년간 국내에서 치료 목적으로 이식된 제대혈은 총 428건으로, 이 중 기증제대혈이 419건, 가족제대혈이 9건이었습니다. 즉, 기증제대혈의 활용률은 약 1%인데 반해, 가족제대혈의 활용률은 0.0002%로 낮은 수준입니다.

 

제대혈 관리 및 연구

대한민국에서는 「제대혈 관리 및 연구에 관한 법률」을 통해 제대혈의 안전한 관리와 활용을 보장하고 있습니다.

제대혈 관리 및 연구에 관한 법률: 제대혈의 품질과 안전성을 확보하고, 이식 및 연구의 기준을 규정합니다.

제대혈 관리 및 연구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대혈은행의 시설 기준, 채취 및 보관 방법, 제대혈 정보센터 운영 등을 구체적으로 규정합니다.

제대혈 관리 및 연구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 산모의 동의 절차, 제대혈의 이식 절차, 기록 보관 및 보고 의무 등을 포함합니다.

2024년 6월 4일, 보건복지부는 행정처분 기준을 명확히 하기 위해 법 시행규칙 개정안을 입법예고하였습니다. 이는 제대혈 관리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한 조치입니다.

 

제대혈 보관비용, 장단점, 선택 비율 알아보기
제대혈 보관비용, 장단점, 선택 비율 알아보기

 

가족제대혈과 기증제대혈

  • 가족제대혈: 본인이나 가족이 필요할 때 사용할 수 있도록 보관합니다. 보관 비용이 발생하지만, 특정 유전적 질환 치료 시 활용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 기증제대혈: 공공 제대혈은행에 기증하여 다른 환자에게 제공됩니다. 활용 가능성이 높고, 사회적 기여도가 큽니다.

 

제대혈 보관 비용

가족제대혈 보관 비용은 업체와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15년 기준 100만~150만 원, 평생 보관 시 400만 원 수준입니다.

 

제대혈은 미래 치료 가능성을 열어주는 소중한 자원이지만, 보관 비용과 활용 가능성을 고려해야 합니다. 부모님들은 신중한 검토 후 가족제대혈 보관 또는 기증을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